물건 바르게 쥐기부터 시작하는 체계적인 쓰기 학습
도달 획득 운동(Reach-to-grasp movement)은 인간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취학 아동 및 일학년 어린이들이 크레용과 연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깨에서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모든 근육과 관절을 적절하게 훈련시켜야 합니다.
주먹과 손바닥을 이용한 쥐기

유아기에는 주먹과 손바닥 전체를 사용해서 물건과 연필을 쥐게 됩니다. 이 방법으로 예를 들어, 두꺼운 점보 왁스 크레용이나 점보 그립 색연필을 사용하여 최초의 간단한 그림 그리기 동작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유아기 시절의 첫 번째 “작품”은 “우연한” 팔 움직임의 결과입니다.
그러나 곧 이 단계에서 그리고 쓰는 운동 기술이 발달하면서, 중요한 변화가 찾아옵니다. 바로 임의적이었던 움직임이 점점 그 목적을 찾아가고, 유아들의 그림은 더 이상 우연한 결과물이 아니게 됩니다. 특히 평평한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릴 때 움직임을 제어하는 능력은 더욱 빛을 발합니다.
핀치 그립

아이들은 지그재그 및 회전 동작으로 선을 그리기 시작하는데, 이 동작은 나중 단계에서 글씨를 쓰는 기술의 기초가 됩니다. 이때부터 아이는 핀치 그립을 수행하여 연필이나 크레용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아이들은 더 의식적으로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하게 되고, 글쓰기 양식을 모방하기 시작합니다.

핀서 그립

엄지 손가락과 살짝 구부린 검지 손가락으로 물체를 잡는 핀서 그립 능력은 아이들이 구슬이나 퍼즐 조각 같은 작은 물체를 다룰 때 연습됩니다. 아이는 이제 가운데 손가락의 도움으로 다음 단계인 삼각 그립을 배울 수 있게 됩니다.
삼각 그립은 연필을 쥔 상태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특정 선을 정확하게 그리는 등 연필의 적절한 제어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집게 손가락은 전체적인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가운데 손가락이 연필 전체를 지지하도록 받쳐주는 동안 엄지 및 검지 손가락은 연필의 양쪽에 부드럽게 배치됩니다 글쓰기 과정은 결과적으로 근육의 긴장을 초래하므로 팔의 위치를 바꾸어 이를 해소합니다. 아이들은 적절한 지도와 반복적인 연필 그립 교정을 통해서 삼각 그립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아이들은 동시에 시각 운동 기술(예: 눈과 손의 동작을 일치시키는 능력)을 배우고 익히게 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 조정됩니다. 비디오 게임 같은 단조롭고 반복적인 작업은 눈과 손의 협응 능력 개발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학교생활에 필수적인 시각 운동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아이들은 반복적으로 복잡한 그립(예: 공 던지고 받기, 구슬 꿰기, 장난감 빌딩 블록을 당기기, 그림을 모양 따라 잘라내기)을 연습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아이의 긴장한 손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 운동을 충분히 준비해야 합니다. 아이들은 긴장을 풀고 손을 흔들거나, 자신의 손가락으로 테이블이나 다른 아이의 등을 따라 기어보거나, 여러 가지 움직임(굴리기, 비틀기, 당기기, 집기, 치기, 반죽하기)이 필요한 점토 만들기를 통해서 효과적인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파버카스텔 슈퍼 소프트 모델링 점토를 이용해 작은 공을 만들어 보세요. 손의 근육을 풀어주고 강화시키는 한편 어린이들이 탄력성 있는 공으로 던지고 잡는 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재미와 운동 능력의 증진을 모두 경험할 수 있습니다.